728x90
반응형
SMALL

컴퓨터구조 3

[컴퓨터구조] 주기억장치에 대해 알아보자

주기억장치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메모리는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이다. 컴퓨터가 빠르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속 명령어와 데이터의 위치는 정돈되어 있어야 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로 알 수 있다.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메모리는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내용이 날아간다.  1. 종류1.1 RAM전원을 끄면 RAM에 저장된 명령어와 데이터가 모두 날아가기 때문에 RAM에는 실행할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가 저장된다.CPU가 실행하고 싶은 프로그램이 보조기억장치에 있다면 이를 RAM으로 복사하여 저장한 후 실행한다.RAM 용량이 크면 보조기억장치에서 많은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빠르게 실행하는 데 유리할 뿐 비례..

CS/컴퓨터구조 2024.11.22

[컴퓨터구조] 보조기억장치의 정의와 종류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보조기억장치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내용을 잃지 않는(비휘발성) 메모리를 보조할 저장장치를 말한다.메모리보다 크기가 크고 저장 용량 대비 비용이 저렴하여 대규모 데이터 저장에 적합하다.주기억장치에 비해 읽기/쓰기 속도가 느리며 CPU가 직접 접근하지 않고, 입출력 장치(I/O)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한다.보조기억장치에는 수명이 있다.  1. 하드 디스크 (HDD, 자기 디스크)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를 말한다.여러 겹의 플래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플래터 양면을 모두 사용 가능하다. 1.1 구성플래터: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 동그란 원판 모양 부품자기 물질로 덮여있어 수많은 N극과 S극을 저장 (N극과 S극은 0과 1의 역할을 수행)트랙과 섹터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트랙: 플래..

CS/컴퓨터구조 2024.11.21

[컴퓨터구조] CPU 3가지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자.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을 여러 개 포함하는 부품이다. CPU는 산술논리 연산장치, 레지스터,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1. 산술논리 연산장치 (ALU)ALU는 계산을 수행하는 CPU의 핵심 부품이다.ALU는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 두 가지 주요 작업을 처리한다. 1.1 받아들이는 정보피연산자: 레지스터로부터 받아들인다.제어 신호: 제어장치로부터 받아들이며 수행할 연산을 알려준다. 1.2 내보내는 정보연산을 수행한 결과는 특정 숫자나 문자가 될 수도 있고 메모리 주소가 될 수도 있다.이 결괏값은 바로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레지스터에 저장된다.ALU는 계산 결과와 더불어 플래그(추가 정보)를 보낸다. 1.3 플래그플래그는 연산 결..

CS/컴퓨터구조 2024.11.18
728x90
반응형
LIST